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타트업
- 결측값
- SQL와일드카드
- 내일배움카드
- MegaCon
- 엑셀기초통계
- 패스트캠퍼스
- SQL부분불일치
- 데이터분석초격차패키지
- 바이트디그리
- Carrying Capacity
- 데이터분석인강
- NotNull
- POP
- MegabyteSchool
- Append
- K디지털그레딧
- Aha Moment
- index
- 파이썬
- K디지털크레딧
- 데이터분석초격차패치지
- SQL부분일치
- Toss PO SESSION
- 데이터컨퍼런스
- Python
- AI컨퍼런스
- 메가바이트스쿨
- MegaCon2022
- dropna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
da-ta ta-da

Intro | PMF 달성, Next Step은? PMF(Product Market Fit) 달성 여부는 User Retention 지표로 판단할 수 있다. Retention Curve에서 Plateau가 생겼다면(=Retention 수치가 평평하게 안정화된다면) PMF를 찾은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유입된 유저가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현상을 발견한다면 PMF이 존재한다는 것. 단 Plateau를 이룬 Retention의 높이(Retention %)에 따라 서비스의 Valuation이 결정된다. Retention 20%가 PMF의 마지노선, 40%는 꽤 큰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는 서비스, 70%는 세상을 바꾸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Retention Plateau가 2nd Month, 3rd Mon..
Carrying Capacity | 한계 수용 능력 Carrying Capacity란 마케팅 없이, Organic User의 유입과 이탈율(Churn)로 계산되는 프로덕트의 근본적인 체력을 뜻한다. Carrying Capacity를 비가 오는 호숫가에 비유하면 좀 더 이해하기 쉽다. 비 내리는 날, 호수의 물의 높이가 어디까지 올라올 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내리는 비와 땅속으로 빠져나가는 물의 양을 알면 고여있는 물을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덕트에 적용한다면 New Customers Today가 내리는 비, Lost Customers Today가 빠져나가는 물, 남아있는 호수의 물을 Total Customers가 되고, 시간이 지나도 근본적으로 유지되는 Total Customer가 Carryin..
1. 리스트 항목 추가, 제거하기 append, remove, pop, clear list.append(value) 기존 리스트 순서 맨 뒤 value 항목 삽입 list.remove('value') 기존 리스트에서 value 항목 제거 list.pop() 기존 리스트의 맨 뒤 항목을 꺼내 제거 변수로 지정하면 맨 뒤 항목을 지정하면서, 해당 항목이 변수에 저장된다.' ✅ usage list = [1, 2, 3, 4, 5] a = list.pop() ▶▶ list = [1, 2, 3, 4], a = 5 list.clear() 리스트 내 항목을 모두 제거, [ ] 형태의 빈 리스트로 리셋. del list 메모리에서 리스트 변수 완전히 삭제 2. 리스트 순서 변경 reverse, sort, sort(rev..